여행을 떠날 때 저마다의 기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 아름다운 풍경, 새로운 경험, 맛있는 음식 등 여행을 즐기는 나만의 방법은 다양하다. 최근에는 환경보호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에코투어리즘’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는 전 세계 여행자 숫자가 13억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할 정도로 여행자의 숫자는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행자가 증가하면 그 이면에는 환경 및 생태계 파괴라는 이슈가 존재한다.
숙소와 식당, 즐길거리 등 사람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어쩔 수 없이 자연은 훼손되고 그곳에 살던 동물들은 서식지를 잃게 되기 때문이다.
환경과 생태계를 보전하는 ‘에코투어리즘(Ecotourism)’은 이런 생태계 파괴의 현실에서 자연을 보전하면서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책임 있는 여행이다.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여행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핵심으로, 1960년대부터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우리말로 ‘생태관광’이라고도 하는 에코투어리즘은 ‘생태학(Ecology)’과 관광업(Tourism)의 합성어로, 우리나라 자연환경보전법에서는 ‘생태와 경관이 우수한 지역에서 자연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통해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하는 자연 친화적인 관광’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자연과 문화를 보고 배우는 친환경 여행이며 생태계 보전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여행’으로 정의하고 있다.
에코투어리즘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생태계 보호를 체험하는 여행이고, 다른 하나는 잘 보존된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여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청정자연을 느낄 수 있는 필리핀의 보라카이 섬이 인기를 얻으며 너무 많은 관광객 방문으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자 아예 6개월간 섬을 폐쇄하고 환경 복원을 한 후 재개장 한 일이나 마차와 전기차만 다닐 수
있도록 한 스위스 체르마크의 활동들이 에코투어리즘의 일환이다.